반응형 일상/내면소통34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행위적 삶에서 명상적 삶으로 자비명상- 강의 중에 거부감이 드는 내용이 있으면 그것은 자신의 고정관념을 건드리는 부분이다. - 두번째 화살, 누군가 나에게 화살을 쐈을 때 처음에 아프지만 내가 스스로 두번째 화살로 첫번째 상처에 다시 꽂는 일을 반복하여 더 괴롭게 한다. - 분노, 복수심, 자기비하 이것이 두번째 화살이고 이것이 우리를 스스로 죽인다. - 내가 나한테 집중포화하는 것은 나스스로이다. - 자비를 베풀라는 것을 날 위해서다. 상대방을 위해서가 아니다. 상대방에게 이야기 할 필요가 없다. 마음으로 녹여 버리라는 것이다. 사법적인 절차에 따라서 처벌을 받게 하면된다. - 저 사람때문에 내가 피해를 입었는데, 내가 내 스스로에게 화살을 퍼부으면 이 얼마나 억울한 일인가. - 용서하라 자비를 베풀러나는 화해랑 다르다 혼자 생각.. 2025. 7. 18.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삶의 평온함을 찾는 법 - 우리 다 죽어가는 존재라는 것을 이해하면 싸울 일이 없다. 우리가 죽어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사랑스러운 이유다. - 죽어가고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두렵지 않다. - 막연한 불안 -> 호랑이가 나타나면 어떻게 하지? - 미래를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미래는 열려 있는 것이다. - 우연이 내 삶의 기본이라는 것을 망각하면 한 없는 불안이 시작된다. - 그냥 막연하게 걱정하게 된다. - 과거를 돌이켜 보면서 미래를 생각하는 것은 삶이 아니다. - 과거와 미래에 있는 것은 고정적인 스토리텔링에 빠진것이다. - 살아있다는 것은 here and now. 삶은 항상 지금 여기서 펼쳐진다. - 미래는 환상이다 아직 오지 않은 것이다. - 내가 만들어내는 스토리가 경험이고 그게 내 삶이다. - 내가 어떤 스토리.. 2025. 7. 17.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우리를 힘들게 하는 것과 우리를 낫게 하는 것 - 부족하다고 생각 되는 모습은 기억자아다(ego). 스토리가 쌓여서 그 부분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이때 부족하다고 지적하는 것은 경험자아다. - 내가 부족하다고 느끼는게 쓸때 없는 마음의 습관이라는 것을 알아차리는데 도움이 되고, 나는 닥달하고 다그쳐야한다는 이데올로기에 벗어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 이런 마음 상태면 어떠한 가이드라인이 들어오더라도 계속 부족하다 할 것이다. - 아무것도 안해도 편안한 상태. 인간 본연의 상태 - 일을 하기 전에 존재다. 무엇을 하는게 아니도 존재 그자체다. 그냥 나는 여기에 편안하게 존재하는 느낌.- 존재하는데 심심하니까 뭐좀 해볼까. - '나'라는 것은 절대 부족하지 않다. '나'는 있는 그대로 온전하다. - 사람으로서는 부족하지 않다. 우리 존재는 완전하.. 2025. 7. 16.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자유 의지'란 환상이다 - 내가 무엇을 원할지를 원할 수 없다 - 내가 무엇을 원할지를 내가 원해서 바꿀 수 있는가? 그렇게 되지 않는다.- 아이스크림을 먹고 싶다는 생각이 있는데 이를 과자로 바꾼다고 바꿀수 없다. - 이전의 경험들이 중첩적으로 쌓여서 오늘 날 어떠행동을 할지 영향을 미친다. -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과도하 비난과 과도한 책임론에서 자유로워질 수가 있다. - 불안장애가 있을 때, 사람들은 자기 자신을 비낫하고 탓한다. 불안장애는 내가 잘 못해서 생기는게 아니다. 내가 컨트롤 할 수 없는 일들이 그냥 나한테 일어 난것이다. 그저 운이 나쁜것이다. - 인생의 대부분은 우연, 운에 달려 있다. - 간질이 걸렸을 때, 그 사람 탓인가? 아니다 그냥 우연이고 운이 없는거다. - 자기 용서를 하고 나는 있는 그대로 받아 들이면 불안장애가 많이 나아진다. - .. 2025. 7. 14. 이전 1 2 3 4 ··· 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