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로그래밍언어28 [c++] typedef 란? 사용법 - typedef란? 프로그래머가 타입의 별칭을 생성하고, 실제 타입 대신 별칭을 사용할때 선언한다. c++에서 이미 정의된 자료형이나 사용자 정의 자료형보다 더 짧거나 의미 있는 이름을 지어줄 수 있다. 관례로 typedef 선언한 곳에 "_t" 접미사를 사용한다. - 사용방법 일반적인 사용법 typedf double speed_t; typedf long long ll_t; c++11부터 다음과 같이 사용가능 using lll_t=long long; 2021. 4. 19. [파이썬]class 정리 (상속, 다중상속)+pass, super 사용법 ○ 상속 물려주는 클래스 부모클래스가 자식클래스에게 변수와 메소드를 물려준다. class 자식클래스(부모클래스) 형태로 사용된다. class human: def __init__(self, name, age): self.name = name self.age = age def Home(self, location): print("{0} 의 집은 {1}입니다. ".format(self.name, location)) class student(human): #human 클래스를 상속받아 student 클래스는 자식클래스가 된다 def __init__(self, name, age, grade): human.__init__(self, name, age) self.grade = grade print("{0}이고 나이는 .. 2021. 2. 5. [파이썬] class 정리- 사용법 ○ class 자료형을 위한 일종의 템플릿이라고 생각하면된다. 객체의 구조와 행동을 정의 한다. class 키워드를 사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한다. class testClass: pass class 키워드를 이용하여 testClass를 선언함. ○ 인스턴스(instance) 클래스로 만든 객체를 인스터스라고 한다. instance1 = testClass() instance2 = testClass() ○ __init__ 클래스를 호출할 시 자동으로 호출할 함수나 매개변수를 받아온다. 파이썬에서 사용되는 생성자. self를 제외한 매개변수를 던져준다. class human: def __init__(self, name, age): self.name = name self.age = age print("이름 .. 2021. 2. 4. [파이썬] pickle 피클 사용법 ○ pickle pickle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올대 매우 유용한 라이브러리이다. 텍스트 상태의 데이터가 아닌 파이썬 객체 자체를 파일로 저장 한다. 객첵 자체를 바이너리로 저장한다. 문자열이 아닌 객체를 파일에 쓸수 없기에 사용한다. 데이터 입력 dump를 이용하여 file에 정보를 저장한다. import pickle profile_file = open("profile.pickle", "wb") #쓰고 바이너리 profile = {"이름":"홍길동", "나이":30, "취미":["축구", "골프", "코딩"]} print(profile) pickle.dump(profile, profile_file) #profile에 정보를 file에 저장 profile_file.close() 데이터 불러오기 loa.. 2021. 2. 3.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