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주환2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감정 - 몸이 의식을 향해 외치는 아우성 우리 마음은 내 몸이 주는 정보를 다 처리하지 못한다. 그래서 몸은 자기 마음대로 움직인다. 심장박동, 장운동 등등 알아서 움직이고 의식에게는 보고하지 않는다. 의식이 관여하는 것은 움직이다. 몸이 의식에게 요구하는 것은 '움직여라' 단 하나다 우리 마음의 본질은 몸을 움직이기 위해서다. 온갖 스토리텔링의 핵심은 움직임을 위한 의도이다. 두려움은 준비 단계가 아니고 이미 도망가기, 움추려들기를 시작한 상태고. 분노는 이미 공격을 시작한 상태이다. 나를 바꾸기 위해서는 나도 모르게 하는 움직임의 패턴을 바꿔야한다. 몸이 의식에게 요구하는 것은 좀 움직여주세요 말고는 할 수 있는게 없다. 그래서 좀 제대로 움직여 달라는 것으로 통증을 유발한다. 중요한것은 감정을 조절을 하려면 잘 인지해야한다. 섬엽(i.. 2025. 4. 17.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경험의 본질 - 루퍼트 스파이라의 '사물의 투명성' 유튜브로 위 강의를 듣고 인상깊은 부분들을 기록 해놓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편안전활의 목적은 아예 처음부터 화가 나지 않는 상태, 즉 편도체가 왠만해서는 활성화 되지 않는 상태, 두려움과 분노를 느끼지 않는 상태 화를 참는 상태가 아닌 처음부터 화가 나지 않는 상태, 이것이 마음근력이 강한 상태다. 혹자는 사람이 어떻게 화를 안내고 사냐고 하는데 필자도 이렇게 생각했다. 분노는 두려움이 해결되지 않을때 일어나는데, 이는 편도체 활성화 상태다. 편도체는 비상벨과 같다. 이 상황이 정상이 아니야~ 비정상 상태야 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분노하거나 두려워 하는것은 살다가 어쩌다 그러는것인데 요즘은 거꾸로 되어 있다. 늘 분노하고 두려워하다가 어쩌다가 평온한 상태로 간다. 이미 편도체가 활성화 됬을 때, .. 2025. 4. 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