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내면소통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셀프 어퍼메이션을 스스로 직접 해보는 자기 확언 훈련

by 연어바케트 2025. 4. 9.
반응형

 

무의식중에 셀프 톡을 하고 있다. 

사실기억 : 역사적 사실, fact!
과정기억 : 젓가락질, 자전거 타는 등등

사건기억 : 이것이 셀프의 핵심이다. 

외부적인 요인이 없으면 A가 A를 변화 시킬 수 없지만, 셀프는 하나가 아니기 때문에 나는 나를 변화 시킬 수 있다. 

다중인격자와 다른 개념으로 질적으로 다른 자아가 우리 안에 있다. 

 모든 경험은 기억되지 않는다. 이 경험들은 스토리로 바껴야 기억이 된다. 위의 예시인 "나는 어제 점심에 친구들 만나서 비빔밥을 먹었다"는 수많은 동작 행위가 있다. 시간을 보기 위해서 시계를 보고, 일어서는 동작, 돌아서는 동작, 걷고 있는 동작, 신호등을 인식하는 동작, 문을 여는 동작, 음식을 시키고, 씹는 행동을 하고 등등  수백만가지의 행동이 있다. 이것을 딱 잘라서 한 문장으로 말하는 것이 스토리텔링이다. 그래서 기억은 점심때 친구들과 비빔밥을 먹었다는 것만 기억하고 이것이 일화 기억이 되고 이 일화기억들이 쌓인것이 '나'가 된다. 이야기만 존재하고 경험은 메모리에 남지 않는다. 

 

나를 바꾸고 싶으면, 평소에 내가 만드는 이야기 덩어리들을 바꿔야한다. 그러면 바꿀려고 하면 내가 하는 스토리텔링을 알아차려야한다. 내 스토리 텔링이 당연하지 않다는 것을 깨달으려면 한걸음 떨어져서 봐야한다. 

 

누군가 나의 배를 박아서 화가나서 쳐다 봤는데 그 것은 빈 배였다. 

A와 C 사이에는 반드시 스토리텔링이 있다. 어떤 사건에서 당연하게 어떤가정을 하고 있다. 집착이 없는지 한번 되돌아봐라.

내가 나에게 이야기만 잘하면 나는 즉각적으로 바뀐다. 

 

진심으로 하는 이야기가 어려운 부분이다. '나는 강해'라고 하더라고 의심이 든다. 이걸 우회하는 방법이 자기확언이다. 진심으로 하는 이야기는 자그만한 성공을 쌓아가는 방법도 있다. 

 

가치정의 - 가치이유 작성하기. (행복이 상위 질문이다. 가치 충돌 시 행복을 생각해보자. 일관성과 정합성이 중요하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모순적인 이야기를 싫어한다. 그래서 가치정의를 하고 가치이유를 작성하면서, 일관성있게 스토리를 만들어간다. 그것이 진심으로 이야기 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이걸 하게 되면, 이에 반하는 모순적인 행동들을 안하게 된다. 그래서 삶에 일관성이 생긴다. 

이것을 작성함으로써 자기긍정, 타인긍정 효과가 있다. 

 

불의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마음근력이 필요한것이다. 분노하고 화내고 한다고 그 불의가 해결되지 않기 때문이다. 

분노는 어떠한 경우에도 도움되지 않는다. 화내면 잘못은 상대방을 처벌 할 수 없다. 

 

확언이 집착이 되면 확언이 아니다. 6개월에서 1년뒤에 작성한것을 보면 내가 얼마나 달라졌냐를 보는 것이다. 무엇을 이뤄낼려고 하는 것이 아니다. 전전두피질을 활성화 하기위해 하는것이고, 셀프가 얼마나 유연하지 보려고 하는것이다. 

 

분노는 목적이 없다. 분노가 일어나면 이미 때가 늦었고, 처음부터 분노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좋다. 참는 것이 아니라 왠만한 일은 나를 화내게 하는 일이 없을거다고 목표를 잡으면 좋다. 

 

자기비하고 올라오면 첫번째할일은 그것을 알아차리는것. '아 내가 나를 부정적으로 또 이야기 하고 있네' 이를 알아차리고 조금씩 완화될 것이다. 

 

배경자아는 알아차리는것이고, 내가 나한테 이야기 한다는 것은 경험자아가 기억자아에게 말하는 것. 

 

내가 잘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알아차리는 기준은 이것을 했더니 행복하거나 편안해지는가  고요해지나 다만 내가 불편하지 않고 그것이 기준이다. (명상, 운동 등등)

 

결핍을 채우려는 삶이 있고, 성장을 하려는 삶이 있다. 결핍이라 다른 사람들을 봤을 때 내가 생각할 때 모자라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모자라다 생각해서 채우다 보면 불행하다. 결핍욕구를 채우려고 하지말고, 남들 보다 부족한 점을 채울려고 하지말고 성장을 포커스를 해야한다. 결핍을 보는 사람들의 특징은 남들과 비교해서 한다. 결핍을 채울려고 하는것은 타인부정 자기 부정이 된다. 절대 남과 비교하지 말고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와 비교해라.  타인과 비교는 내가 컨트롤 할 수 없다. 그래서 굉장히 불행해지고 불안해진다.  오늘의 나와 내일의 나는 성장욕구다. 

 


 

 

이번 강의에서 들은 내용을 바탕으로 6개월에 한번씩 자기확언을 했던 것들을 들여다보고 다시 작성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했다. 가치를 정의하고 있다 보니 필자는 돈, 시간에 대한 가치 정의를 많이 내리고 있었다. 6개월 뒤에는 어떻게 변해있을지 궁금하기도 하고 이에 빠라 필자의 행동은 어떻게 일관성을 유지하려고 노력할지도 궁금하긴하다. 

 

필자는 가치정의, 가치이유를 굿노트에 정리 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