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가 인생사는게 힘든것은 기억자아, 경험자아가 나라고 착가해서 그렇다. 삶의 상황을 삶 자체로 헷갈려 한다.
- 배경자아로 돌아간다는 것은 상황, 문제가 아니다라는 것을 알아차리다는 것이다. 무시하자는 것이 아니다. 문제에 함몰되지 말자는 것이다.
- 경험은 타인에게 보고할만한 어떤것 이걸 순간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경험자아다.
- 배경자아는 인식대상이 될 수 없는 자아다. 눈이 눈을 볼수 없듯이 배경자아는 자신을 인식할 수 없다.
- 자나카 왕의 꿈 이야기 구운몽이랑 비슷한 이야기네.
- 인식 주체와 인식 대상이 같으면 두려움 집착이 사라진다.
- 각자아는 서로를 대체할 수 없다. 현대의 문제는 경험자아와 기억자아가 강하고 배경자아를 못 느껴서 배경자아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차리자는 것!
- 배경자아는 행위하지 않고 존재하는 자아다. 배경자아는 고요하고 평온하기에 행복하다.
- life situations가 해결되지 않으면 경험자아와 기억자아가 활발해진다. 문제가 해결되면 경험자아와 기억자아가 날뛰는게 멈춰서 배경자아가 나타나는거다. 문제가 해결되서 행복한게 아니라. 경험자아와 기억자아가 물러나고 배경자아가 나와서 행복해진거다.
- 조건때문에 행복하나는것은 불행의 전조다. 조건때문에 행복하는 것은 그 조건이 사라지면 불행해지는것이다.
- ~~ 불구하고도 행복한것이 진짜 행복이다.진짜 행복은 life situations이랑 관계 없는 것이 진짜 행복이다. 이것이 조건에 달려있지 않는 행복이다.
-
- 방향을 외부에서 찾는것이 아닌, 내 안에 있다. 문제 해결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외부적 문제를 해결한다한들 나의 행복은 근원적인 해결이 되지 않는다.
- 외부 문제를 해결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다 거기에 목숨걸지 말라는 것이다. 근원적인 문제는 내 안에 있기 때문에 외부문제가 해결되든 되지 않든 내안의 근원적인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 배경자아는 계속 친절함 자비를 내게 되고, 개별자아는 '넌 틀렸어, 내가 옳아'를 내게 된다.
- 배경자아에 가까워질려면, 나는 친절해를 주장하도록 해야한다. 내가 얼만큼 친절했냐를 계속 생각해라
- 욕망과 두려움은 같은것이다. 동전의 양면과 같다.
- 뭔가를 얻기 위해서 명상하면 잘 되지 않는다.
- 명상을 해서 특별한 상태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다.
- 명상은 저는 아무것도 안햇는데 마음이 편안해요. 이게 명상이다.
- 무엇을 해야 얻는것이 아니라 알아차리는 것이다.
- 알아차리고 있는 나를 알아차리는 것.
알랭드보통의 status anxiety 추천, 한국의 번역어로 '불안'
'일상 > 내면소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능동적 추론 - 통증과 감정의 원인은 같다 (0) | 2025.05.26 |
---|---|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마음근력 훈련으로 내가 나를 바꾸는 것이 가능한 이유 (2) | 2025.05.22 |
[김주환 교슈의 유튜브 강의] 내면소통 활용법 (1) | 2025.05.20 |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내면소통의 힘 - 긍정 확언 제대로 하는 법 (0) | 2025.05.19 |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회복탄력성 향상법 두가지! - 저자 직강 (1) | 2025.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