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타인의 인정에 의존하는 삶에서 벗어나기 - 나르시즘은 타인이 못 났다 이다. - 자기 존중이 강화되면 타인 존중이 생겨난다.- 내 안의 어떠한 스토리텔링을 하는지 알아차려야한다. 자기폄하, 자기비하가 있는지 알아차려야한다.- 자랑 할 생각이 들지 않는 그 상태가 자유로운 상태고 행복한 상태다. - 회사에서 인정을 받아야 승진을 할 수 있다 -> 이는 인정욕구다. 인정욕구를 버려라는 것이 아니고, 인정중독에서 벗어 나라는것이다. - 인정 받고 싶어. 인정받으면 좋지, 인정 못 받아도 상관없어. 크게 흔들지 않는 상태. 선호의 상태 2025. 6. 30.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커뮤니케이션 불안증 극복하기(면접, 연설, 발표, 미팅, 대화 등) - 건강한 인간관계는 사랑과 존중이 살아있는 관계, 사랑을 주고 사랑을 받는 능력, 존중을 하는 능력과 존중을 받는 능력 - 인간관계를 통하지 않고는 돈과 명예, 권력들이 생산되지 않는다. 내가 혼자 무엇을 한다고 해서 돈이 생기지 않는다. 항상 내 주머니에 들어오는 돈은 다른 사람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것이다. - 내가 맺고 있는 중요한 인간관계에서 사랑과 존중을 할 수 있으면 성공적인것이고 그렇게 되면 성공적인 삶이 된다. - 우리는 인간관계 때문에 성공하고 싶어 하는 것이다. - 사람들이 망할까봐 괴로워하는 것은 망해서 인간관계가 깨질까봐 두려워서 괴로운 것이다. - self-presentation은 사랑과 존중, 호감과 신뢰를 얻기 위해서 하는 행동들이다. 소셜미디어 때문에 훨씬더 커졌다. - se.. 2025. 6. 25.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초집단적 세뇌에서 벗어나야 행복해질 수 있습니다. - 돈많이 많을 경우 불행하지 않을 경우는 커지지만 행복해질 가능성은 커지지 않는다.- 대표적인 예 ) 문법은 누가 만들었냐? 문법을 만든 사람은 없다. 언어의 규칙은 어느 누구도 만들지 않았다. 문법은 관찰하여 발견할 뿐이지 문법은 언어 사용자들이 말을 하다보니 만들어진거다. 관습등 모든 것이 그렇다. - 얼마만큼 세뇌 된거고 얼마만큼이 내 생각인지 생각 해봐라.- 사람들이 전부 절로 가니까 나도 따라가게 된다. - 의식하지 않아도 동조하게 되고 의도 하지 않아도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 우리는 누군가에게 영향을 받고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 보는 관점에 따라서 다르고 절대적으로 팩트를 팩트로 전달하기는 어렵다. - 누구는 음주운전을 중점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일 수 있고, 누구는 브레이.. 2025. 6. 20.
[김주환 교수의 유튜브 강의] 뇌가 만들어내는 환상, 의식 - 뇌의 여러 뉴런들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활성화 된것 들을 하나로 만드는 것이 의식이다. - 이 세상은 뇌가 만들어 내는 환상이고 똑같은 세상이다.- 그러면 뇌는 왜 환상을 만들어 낼까? -> 뇌의 존재 이유는?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 존재.생존이 도움이 되도록 이 세상을 왜곡한다.- 우리 의식은 뇌에 들어오는 것을 편집한다. - 동시라는 것을 알기 때문에 서로 다르지만 편집을 해버린다. - 흔들림 보정이 없는 휴대폰으로 세상을 촬영한것을 보면 불편하지만, 눈에 들어 온거는 의식에서 편집해서 그렇지 한다. - 내 몸에서 실시간으로 메시지를 올리고 있다. - 그래서 사람마다 바디 이미지의 차이가 있다. 2025. 6. 19.
반응형